-
주의사항결제수단/paypal 2020. 5. 7. 23:30
-
페이팔 코리아 지원이 시작되기 이전 가입한 사용자의 경우 고객센터 전화번호로 싱가포르 번호가 안내되고 있다. 해당 번호로는 영어와 중국어로만 상담이 가능하고, 채팅 상담을 해야 한국어 통화가 가능한 번호(02-3483-1131)를 안내 받을 수 있다. 또한 이메일 상담은 영어만 가능하다.
-
체크카드를 등록시켜 페이팔 계정을 만들 수도 있지만 체크카드의 경우 환불 절차가 상당히 늦는다. 안 되는 건 아닌데 최소 일주일, 길면 한 달이 걸리기 때문에 요주의. 정상적인 환불일 경우에는 2~3일 이면 은행계좌로 환불이 되며, 판매자와 고객간의 분쟁이 있는 경우에는 경우에 따라 최대 30일까지 걸리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 고객 보호 프로그램에 의하여 보호받는다. 또한 체크카드만 사용하면 결제 한도가 걸려 누적 결제액이 일정을 넘어가면, 페이팔에서 지정한 해당 국가의 은행 계좌를 등록시켜 페이팔에 인증(verification)을 받아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인증은 간단하게 할수 있다. 반대로 체크카드로 결제시 결제대금이 바로 빠져나가는 경우도 있고 빠르면 1일 늦으면 2주 후에 결제대금이 빠져나가는 심각한 오류가 있다.
-
페이팔을 사칭하여 로그인을 유도, 비밀번호 등을 빼가는 스팸메일이 있다. 주의. 항상 URL을 확인하여 정확한 페이팔 웹사이트임을 확인한 후 로그인 하여야 한다.
-
외국계 결제 업체이므로 한국과는 달리 Active X 등의 설치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지만, 은행 계좌 등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은행에 따라 특정 브라우저로만 접속해야 결제가 되기도 한다. 이건 페이팔의 문제가 아니라 등록된 은행 쪽 문제.
-
과거에는 한국 소재 은행 계좌로 페이팔 계정을 충전(add funds)할 수 없었으나, 2013년 5월 3일부터 하나은행과 페이팔의 제휴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므로 한국에서도 충전이 가능해졌다. 하지만 2017년에 서비스 종료.
-
2015년 10월 7일에 확인한 결과 집주소 변경시 가승인 1달러가 결제되니 만약 이사를 가거나 어쩔 수 없이 변경할 시 참조. 가승인은 실제 결제되는 것이 아니고 단지 카드사에 1달러를 Authorization하는 과정이고 3일 후면 자동으로 풀리니 혹시나 $1을 지불하여야 할 지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
그 외에도 구글 리뷰를 보면 리펀드 불가능(판매자와 고객간의 분쟁 중 고객의 잘못으로 판단된 경우. 이때에 페이팔은 아무런 이득이 없다.), 돈 소실(이 또한 대부분 고객의 잘못으로 돈을 회수할 수 없을때) 등등이 아주 나쁜 단점들이 계기 되어 있다. 참고로 그러한 이러한 단점은 결코 은행이나 카드사보다 더 나쁘지는 않다. 그럴 이유가 없는 것이 결국 페이팔은 은행이나 신용카드사에 환불을 요청하기 때문이다.
-
아멕스 카드를 등록하면 명세서 등에 4자리 인증코드가 뜨지 않는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의 PayPal 고객센터에 문의 결과 가끔씩 시스템이 꼬이면 그렇게 된다는 듯… 해결 방법은 고객센터에 연락후 지정 이메일 주소로 해당 결제의 명세(화면 캡쳐 등), 신분증[3], 해당 아멕스 카드[4] 사진을 보내면 수동으로 등록해 준다.
-
페이팔의 자체 환율은 시중은행 환율보다 매우 매우 거지같으므로, 자체환전은 되도록이면 이용하지 말자.[5]
-
한국 계정 간의 금전 거래는 불가능하다. 공지글 참고. 다만 한국 계정과 해외 계정 간에는 가능하다. 공지글이 업데이트되기 전에는 기사도 존재하는 것을 보아 카드깡을 금지하는 여신전문금융업법에 의한 것이 아닌가 강하게 추측되었으나, 공지글에 공식적으로 전자 자금 이체법 때문이라고 하였다. 외국법인에 대해서도 적용되는 전자금융거래법에 의하면 페이팔도 국내에 등록을 해야 하나, 아직까지 등록되지 않아서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
일반 신용카드 지불에 비해 차지백 케이스를 여는 것이 상당히 간단하다. 이 점 때문에 주문의 단순 환불/취소 수단으로 차지백 케이스를 여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차지백은 문제 발생시 판매자와의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때 은행이나 신용카드 회사를 통해 강제로 돈을 뱉어내게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환불/취소 요청과는 당연히 다르다. 바이어의 차지백 케이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웹사이트에서는 이로 인해 영구정지가 될 수도 있으니 주의가 필요하다.
-
어느 순간에서부터 외국 주소를 추가할 수 없게 되었고, 기존 사용하던 외국 주소는 자신의 페이팔 계정 국가 외에는 전부 삭제되었다. 해외 셀러는 페이팔 인증 주소로만 발송하는 경우가 다수 있으므로, 대체 결제 수단을 확보하거나 셀러와 연락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
2017년부터 페이팔로 성인물 컨텐츠를 결제할 수 없게 됐다. 2015년 페이팔 CEO로 취임한 Daniel H. Schulman은[6] 박애정신이 넘치는 도덕주의자로 자신이 세계를 위해 좋은 일을 하고 싶다며 그 중 한가지로써 성인물 컨텐츠의 거래수단에서 페이팔을 제외시키겠다고 선언했다. 얼마전까지도 페이팔로 성인물 결제를 했다고 반문할 위키러도 있겠지만 그건 그냥 페이팔 회사의 감시망에 안 걸리거나 거물급 거래처[7]라서 아직 처리 안한 것 뿐이다. 또한 성인물을 거래하는 페이팔 계정이라고 신고하면 얄짤없이 그 계정을 정지 먹인다. 개인 대 개인으로 송금해도 송금내역을 감시하기 때문에 배송주소 없이 특정 계정에 송금이 집중되면 성인물 컨텐츠 거래계정으로 의심하고 자금흐름 조사에 착수해 성인물 거래라고 판단되면 계정을 정지시켜버린다. 패트리온도 후원방식으로 페이팔을 지원하고 있는데 자꾸 패트리온의 성인물 컨텐츠가 페이팔로 거래된다며 계속 이러면 패트리온에서 페이팔 결제지원을 끊겠다고 협박하자 패트리온도 철저한 검열을 시작해 대부분의 성인물 컨텐츠 창작자를 쫓아냈다.
-